공간복잡도란?
공간복잡도(Space Complexity)는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의 양을 측정하는 척도입니다.
이는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알고리즘이 얼마나 많은 추가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시간복잡도가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분석하는 것이라면,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차지하는 공간(메모리)을 분석합니다.
왜 공간복잡도가 중요한가?
- 효율적인 자원 활용
제한된 메모리 환경(예: 임베디드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알고리즘이 실행 가능하려면 공간복잡도가 낮아야 합니다. - 안정성 및 성능
메모리 초과 사용은 시스템 충돌 및 속도 저하를 유발합니다. 공간복잡도를 줄이면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대규모 데이터 처리
빅데이터와 같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때 메모리 사용량이 알고리즘의 실행 가능 여부를 결정합니다.
공간복잡도의 구성 요소
공간복잡도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고정 공간 (Fixed Part)
알고리즘이 실행되기 전에 할당되는 상수 공간입니다. 변수, 상수, 프로그램 코드 등이 포함됩니다. - 가변 공간 (Variable Part)
입력 크기에 따라 변하는 공간입니다. 동적 자료구조(배열, 리스트 등)가 여기에 속합니다. - 재귀 호출 공간
재귀 호출 시 호출 스택에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예시로 이해하는 공간복잡도
1. 입력 크기에 비례하지 않는 경우
def sum_of_two_numbers(a, b):
return a + b
분석:
- 고정 공간: 두 변수 a와 b에 대한 메모리 → O(1)
- 추가 공간: 결과를 저장할 공간 → O(1)
- 공간복잡도: O(1) (상수 공간)
2. 입력 크기에 비례하는 경우
def calculate_squares(arr):
result = []
for num in arr:
result.append(num ** 2)
return result
분석:
- 입력 데이터: 배열 arr → O(n)
- 추가 공간: 결과 배열 result → O(n)
- 공간복잡도: O(n)
3. 재귀 호출이 있는 경우
def factorial(n):
if n == 1:
return 1
return n * factorial(n - 1)
분석:
- 호출 스택: 최대 n개의 함수 호출이 저장됨 → O(n)
- 추가 공간: 없음
- 공간복잡도: O(n)
공간복잡도 최적화 방법
- 데이터 구조 선택 최적화
배열 대신 링크드 리스트, 혹은 불필요한 데이터 구조를 제거합니다. - 재귀 대신 반복 사용
재귀 호출을 반복문으로 변환하여 호출 스택 공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제자리 연산
추가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 데이터를 직접 수정하여 연산합니다.
결론
공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할 때 중요한 척도 중 하나입니다. 입력 데이터 크기,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자료구조, 재귀 호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공간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려면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를 균형 있게 최적화해야 합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복잡도란 무었인가? (2) | 2024.12.02 |
---|